본문 바로가기
꿀정보

착한아이 증후군 콤플렉스

by 헤유- 2022. 9. 10.
반응형

착한 아이 증후군 / 콤플렉스

아이를 키우며 아이를 잘 키우고 싶어서 도서를 굉장히 많이 접했다. 가장 많이 알려진 육아서를 읽기 시작하고, 대학시절 배웠던 유아 교육론에 대해서 다시 공부를 하기 시작했다. 이론과 아이를 직접 양육하는 일은 생각보다 훨씬 거리감이 있다. 이론보다는 내가 커왔던 어린 시절의 환경, 나의 성품이 육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 착한 아이 증후군 콤플렉스는?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에게 착한 사람으로 비치기 위해서 착한 아이가 되려고 하는 심리를 말한다. 성인으로 이어지게 된다면 착한 아이 콤플렉스라고 한다. 

생각해보면 내가 착하아이증후군에 걸린 아이가 아이였을까 싶다. 이런 타이틀을 벗게 된 것은 성인이 된 이후였다. 나는 사람들과의 트러블 싸움을 굉장히 싫어한다. 그래서 트러블을 만들고 싶지 않고 타인에게 잘 보이게 하기 위해서 착한 사람 가면을 쓰고 행동했었다. 이 틀을 깬 것은 육아를 하면서 다시 유아교육 아이를 양육하는 방법을 공부하게 되면서이다. 나는 공부를 하고 독서를 하며 사람은 왜 평생 공부를 해야 하는가에 하여 깨달음을 얻기 시작했다. 그리고 내 아이는 착한 아이로 키우지 않겠다는 결심을 하게 되었다. 

 

착한 아이 증후군의 원인

  • 착한 아이 증후군으로 자라게 되는 원인은 100% 가정환경과 부모의 양육이다. 
  • 자발성이 발달하게 되는 시기에 부모가 아이의 호기심을 지나치게 제한했거나, 엄격한 예절 교육을 중시하며 아이를 키웠을 때 아이는 착한 아이 증후군으로 커갈 가능성이 높다. 
  • 부모가 착한아이, 얌전한 아이일 때면 좋은 평가를 내린다면 아이는 착한 아이의 가면을 써간 채 살아갈 수 있다. 
  • 획일적인 교육이 그대로 남아있는 학교과 가정에서는 아이에게 언제나 착하고 얌전할 것을 강요하고, 싸우거나 윗사람에게 말대꾸하는 것은 나쁘다고 주의를 준다. 
  • 얌전한 아니는 공격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는 아이보다 위험할 수 있다.
  • 아이가 "싫어"를 외치는 반항기 (18개월~)에 들어섰다면 아이가 호기심과 자발성을 키워갈 수 있도록 자유로운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 아이가 싸움을 한다면 자발성의 바탕을 둔 아이임으로, 걱정하지 않아도 괜찮다. 위험한 아이는 싸움을 하지 않는아이다. 싸움을 하면 나쁜 아이라는 타이틀을 두지 않도록 한다. 

 

 

반응형

댓글